
Introduction
<MemeMe>'s origins stemmed from the awareness that, amidst the signs, advertisements, and public sculptures that fill urban spaces, there was a lack of channels for people to express their opinions. This led to the concept of a media play that reinterpreted the uniformity of urban signage through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play, viewers input sentences containing their own voices, converted into Korean symbols, and created digital signs, which they then placed or shared within the AR environment. This project transforms the process of urban and media communication into play, exploring the potential for individual messages to be communicated in new ways within a community.
<밈미>의 시작은 도시 공간에 가득한 간판과 광고, 공공조형물 속에서 사람들이 실제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로가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에 도시 속 획일적인 간판과 사인(signage)을 증강현실로 재해석하는 미디어 플레이를 구상했다.
플레이를 통해 관객은 자신의 목소리를 담은 문장을 입력해 한글 기호로 변환된 디지털 사인을 만들고, 이를 AR 환경 속에 배치하거나 공유하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와 미디어 소통 과정을 놀이화하며, 개별적 메시지가 공동체 속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Practice Process
To transform the limitations of urban community and communication into playful interaction, I designed an algorithm that converts sentences entered by the audience into Korean symbols and reconstructs them into new signs, as well as an interface that allows these to be placed with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도시적 커뮤니티와 소통의 한계를 놀이적 인터랙션으로 전환하고자, 관객이 입력한 문장을 한글 기호로 변환해 새로운 사인으로 재구성하는 알고리즘과, 이를 증강현실 환경 속에 배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상했다.

Players engage in a three-step process.
- First, they input sentences to create their own signs. (Level 1)
- then upload them to the cloud or a specific location in the city to share (Level 2).
- Finally, they discover signs left by others and interpret their meaning through interaction (Level 3).
This process extends beyond simple message delivery to an artistic experiment that imprints a personal yet collective voice on the city.
플레이어는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참여하게 된다.
- 먼저 문장을 입력해 자신만의 사인을 생성한다. (Level 1)
- 이를 클라우드나 도시의 특정 장소에 업로드하여 공유한다. (Level 2)
- 마지막으로는 다른 사람들이 남긴 사인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상호작용 속에서 해석해 나간다. (Level 3)
이 과정은 단순한 메시지 전달을 넘어, 도시에 개인적이면서도 집단적인 목소리를 각인하는 예술적 실험으로 확장된다.



The project also included a workshop called "MemeMe Tour," where participants walked through the city with actual citizens, creating and placing signs. Participants shared and discussed their messages, exploring the democratic potential of public communication and how community messages can come to life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또한 <MemeMe Tour>라는 워크숍을 통해 실제 시민들과 함께 도시를 걸으며 사인을 제작·배치하는 활동을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서로의 메시지를 공유하고 토론하면서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민주적 가능성과 공동체적 메시지가 어떻게 증강현실 환경 속에서 살아날 수 있는지를 함께 탐구했다.



Experience Scenario
Amidst the signs and advertisements that fill the city's surface, players create their own signs and inscribe their voices.
Discovering signs placed in specific locations, they encounter traces of others, and as they collaborate to interpret incomprehensible symbols, community interaction emerges.
Augmented reality spaces go beyond mere overlays; they transform the city itself into a stage for public communication.
도시의 표면을 가득 메운 간판과 광고 속에서,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사인을 만들어 목소리를 새겨 넣는다.
특정 장소에 배치된 사인을 발견하며 타인의 흔적과 마주치고, 의미를 알 수 없는 기호를 함께 해석해 나가는 과정에서 커뮤니티적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증강현실 공간은 단순한 오버레이를 넘어, 도시 자체를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무대로 전환시킨다.

Supported by
Art Center Nabi , Playm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