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um Overlay

Identity Visualization through Interaction
Interactive Design
2025

Introduction

"How can multiple identities be visualised intuitively?"

While updating my website and designing its cover page, this question emerged. The work focuses on visualising the structure of my practice — one that moves between and connects the overlapping trajectories of being an artist, a designer, and a researcher.

During the research process, I found resonance with the notion of Quantum Overlay. Just as particles coexist in multiple potential states before interacting, my practice also seems to exist in overlapping layers — of artistic sensibility, technological structure, and learning contexts. This project became an attempt to make that latent coexistence visible.

“다중 정체성을 어떻게 직관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을까?”

웹사이트를 새로 구축하며, 커버 페이지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이런 질문이 생겼다. 이 작업은 예술가, 디자이너, 연구자로서 서로 다른 궤도를 오가며 교차하는 나의 실천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리서치 과정에서 나는 ‘퀀텀 오버레이(Quantum Overlay)’라는 개념과 유사성을 느꼈다. 입자가 상호작용하기 전까지 여러 상태로 공존하듯, 나의 실천 또한 예술적 감각, 기술적 구조, 학습의 맥락이 서로 겹치며 잠재적으로 존재한다는 생각이 들고 그 잠재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드러내 보고자 했다.

 

Practice Process

Just as a single practice vibrates across multiple axes, the website’s cover visualises how art, design, and learning continuously flow toward, merge with, and separate from one another.

The piece was built with Cables.gl as a real-time interactive visual, designed around the central gesture of touch.

하나의 실천이 여러 축 위에서 동시에 진동하듯, 웹사이트의 커버는 art, design, learning이라는 세 영역이 서로를 향해 흐르고, 겹치고, 분리되는 과정을 인터랙티브하게 시각화했다.

이 작업은 웹기반 비주얼 프로그래밍 툴 cables.gl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인터랙티브 비주얼로 제작되었으며, 구조와 인터페이스 모두 터치를 핵심으로 두고 설계되었다.

The blobs move randomly, colliding and drifting apart, and each brief contact momentarily reveals a subtle texture of meaning. An intuitive interface was created around the act of tapping a word — allowing movement itself to generate visual response. The interface was intentionally minimised, so that the experience of touch becomes the focus rather than the operation of technology.

Through this structure, the viewer shifts from passively observing a visual effect to actively entering a sensory field of experimentation — one where interaction itself becomes a form of reflection.

화면 위의 블롭(blob)들은 무작위로 움직이며 서로 닿았다가 흩어지고, 그 짧은 순간마다 의미의 결이 잠시 드러난다. 또한 단어를 터치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곧 시각적 반응을 생성하도록 했다. 인터페이스는 가능한 한 최소화해, 사용자가 기술적 조작보다 닿음 그 자체의 경험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구조를 통해 관객은 시각적 효과를 단순히 ‘보는’ 상태를 넘어, 직접 감각적으로 실험하고 관계의 변화를 체험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The source code of this work is openly available on the platform under a Public Domain Dedication, allowing anyone to explore, modify, or reconstruct it.

작업의 소스코드는 플랫폼에 오픈 소스(Public Domain Dedication)로 공개되어 있으며, 누구나 탐색하거나 재구성할 수 있다.

Source Code

Made with Cables.gl

아르동(Kiryung Arrddon Nam, 남기륭)은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인터랙션 디자이너, 크리에이티브 러닝(창의적 배움) 연구자.Quantum Overlay | Arrd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