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ur imagination of the future often remains vague and uncertain. AI-generated images promise visions, but instead of resonance, they frequently bring fatigue. The project draws the audience directly into a virtual future, visualizing the collective imagination in a performative and experiential way.
미래에 대한 우리의 상상은 종종 막연하고 불확실하다. AI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비전을 제시하지만, 공감보다는 피로감을 주기도 한다. 프로젝트를 통해 관객을 가상의 미래 속으로 직접 끌어들여, 수행적이고 체험적인 방식으로 집단적 상상력을 가시화했다.


Reference
ING Poland’s <Future Me> campaign is an AI-based initiative designed to help young people imagine their life after retirement. Research showed that only 20% of young Poles think about their future beyond work, so the campaign invited users to upload a photo and a future plan, which the AI then transformed into a visualization of their aged self. By doing so, the campaign encouraged the younger generation to picture their future more concretely and start preparing for it.
ING Poland의 <Future Me> 캠페인은 젊은 세대를 위한 AI 기반 캠페인으로, 은퇴 이후의 삶을 상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폴란드 청년의 20%만이 은퇴 후 삶을 고민하고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과 미래 계획을 업로드하면 AI가 노년의 모습을 시각화해 보여주는 방식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가 자신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캠페인이다.


[LINK] Future Me, ING Poland
Practice Process
The most intuitive and personal future is one that shows your own face. By presenting the audience’s aged appearance in real time, <VizFutures> project offers an immersive exhibition format where future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nd transformed.
Representative future scenarios are framed through three type of futures:
- Collapse Future
- Preservation Future
- Transformation Future
가장 직관적이고 개인적인 미래는 바로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미래다. <VizFutures> 프로젝트는 관객의 나이 든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미래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형되는 몰입형 전시 형식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미래 시나리오는 세 가지 유형의 미래를 통해 구성된다:
- 붕괴 미래
- 보존 미래
- 변혁 미래

Senario
2050, your birthday in a chosen city
The audience sees their aged face on this day.
City landmark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ombine to generate a personalized future.
The AI generates solutions and adaptive practices, visualizing how the audience might navigate and transform these futures.
2050년, 특정 도시에서 맞이하는 생일
관객은 생일을 맞이한 미래의 자신의 얼굴을 본다.
도시의 랜드마크와 환경적 상황이 조합되어 새로운 미래가 형성된다.
AI는 이러한 위기 상황을 해결해가는 과정을 생성적 내러티브로 제시하며, 그에 따른 시각화가 함께 진행된다.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through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group in collaboration with Art Korea Lab and Modulabs.
아트 임팩트 랩 | 아르동(남기륭. 랩장) 김명규 박지수 안소희 양숙현
윤종원 이동희 이유빈 이진호 정효정 홍정민 황남웅
영상 제작 협력 | 김민정 이하림 박선진